[끝없는 월요일 – 2화] 현대사회의 노예

This entry is part 2 of 15 in the series 끝없는 월요일

“노예가 노예로서의 삶에 너무 익숙해지면 놀랍게도 자신의 다리를 묶고 있는 쇠사슬을 서로 자랑하기 시작한다. 어느 쪽의 쇠사슬이 빛나는가, 더 무거운가 등… 그리고 쇠사슬에 묶여 있지 않은 자유인을 비웃기까지 한다. 하지만 노예들을 묶고 있는 것은 사실 한줄의 쇠사슬에 불과하다. 그리고 노예는 어디까지나 노예에 지나지 않는다.

과거의 노예는, 자유인이 힘에 의해 정복되어 어쩔 수 없이 노예가 되어 버렸다. 그들은 일부 특혜를 받거나 한 자를 제외하면 노예가 되더라도 결코 그 정신의 자유까지도 양도하지는 않았다. 그 혈통을 자랑하고, 선조들이 구축한 문명의 위대함을 잊지 않은 채, 빈 틈만 생기면 도망쳤다. 혹은 반란을 일으키거나, 노동으로 단련된 강인한 육체로 살찐 주인을 희생의 제물로 삼았다.

그러나 현대의 노예는 스스로 노예의 옷을 입고 굴욕의 끈을 휘감는다. 그리고 무엇보다 놀랍게도, 현대의 노예는 스스로가 노예라는 자각이 없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노예인 것을 스스로의 유일한 자랑거리로 삼기까지 한다. ”

– 극작가 리로이 존스 (LeRoi Jones), 1968년 뉴욕 할렘에서

 

얼마전 우연한 기회에 읽게 되었지만 요즘같은 세상에 참 가슴에 와 닿는 말인 것 같다.

얼마 전 한 대기업에 다니는 지인으로 부터 들은 이야기다. 임원들과 같이 하는 회식자리에서 한 부장급 인사가 임원들과 대화 중에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고 한다.

“우리가 임원이네 부장이네 해도, 사실 따지고 보면 X씨 집안 (오너 집안) 노비들 아니겠습니까?”

이 말을 들은 임원은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

“노비? 노비라고? 당신이 노비급에나 끼겠어? 사장단이나 임원급은 되어야 노비 근처라도 가지, 당신들은 소나 말 정도 아니겠어?”

맞는 말인 듯 하다. 조선시대 노비들이라고 하면, 적어도 주인어른 얼굴이라도 본 적이 있을 것이고, 주인 댁 가족들도 얼굴보면 아 이 노비는 우리집 노비인 것 같은데? 정도는 생각했을 것이다. 반면에, 일반 대기업 부장급 인사가 오너 집안 가족을 봤을 경우가 흔치 않으니, 오너 일가가 못 알아보는 그들은, 굳이 비교하자면 그들은 노비보다 못한 존재, 소나 말? 아니다. 주인 어르신은 말 얼굴도 자주 보시고 자신이 타던 말이 아니면 아니라는 사실도 인지하실 것이다. 소? 소도 큰 자산의 하나이므로 얼굴을 알아볼 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아마도 닭?

부장이 저 정도라면 일반 사원들은 어떤가? 주인 댁 가족들이 부리는 그 노비가 부리는 그 밑의 존재… 낫이나 호미 정도의 아예 사물일 수도 있다. 오해하지 말길 바란다. 인격적으로 모욕하려 한 것이 아니라, 오너 집안의 눈에는 우리가 그 정도 하찮은 존재일 지 모른다는 필자의 생각일 뿐이다. 많은 사람이 공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도 생각한다.

죽어라 노력해서 대기업에 입사하고 난 후, 어디 그룹 직원이라 소속감을 뿌듯해하는, 그리고 내심 뽐내는 우리가… 따지고 보면 사실은 하나의 톱니바퀴 보다도 못한 존재일 수도 있다는 생각, 해 본 적이 있는가? 내가 아닌 다른 누군가의 자산을 불려주기 위해 일하고, 그에 대한 대가로 받는 월급을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듯이 소비로 대부분을 지출하고 있는 우리들이, 쇠사슬을 자랑하고, 스스로 노예임을 자랑하고 있는 리로이 존스의 글에 나온 노예와 별반 차이가 없어보이는 건, 필자만의 생각인가?


[끝없는 월요일 – 1화] 칼럼을 시작하며

This entry is part 1 of 15 in the series 끝없는 월요일

2015년의 어느 월요일, 필자가 살고 있는 홍콩의 미드레벨에서 출발해서 미드레벨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출근을 시작한다. 2주 간의 긴 휴가를 마치고, 회사가 있는 청콩센터(Cheung Kong Center)로 걸어가는 길이었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그렇겠지만, 월요일은 항상 마음이 무겁고 또 괴로우며, 특히 휴가 이후의 월요일이라면 더 그러할 것이다. 필자도 마찬가지로 보통 일요일 밤에는 회사에서 일이 잘 풀리지 않는 꿈을 자주 꾼다. 기분도 꿀꿀한 상태에서 무거운 마음으로 출근을 하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아, 이놈의 괴로운 월요일은 정말 앞으로도 끝 없이 오겠구나.’ 직장생활을 시작한 지 10년이 훌쩍 넘었는데도, 여전히 월요일 출근길의 마음은 무겁기만 하다.

몇몇 가혹하게 일을 시킨다고 소문난 대기업들은 ‘월, 화, 수, 목, 금, 금, 금’이라고도 하던데, 그런 회사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월요일이라고 특별히 더 힘들 것 같지는 않겠다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주말은 그래도 쉴 수 있는 우리의 삶보다 훨씬 더 힘들고 팍팍한 삶을 살고 있으리라.

그 날 출근길에 건물 앞에서 담배를 한 대 피는 순간 생각이 들었다. 월요일. 월요일이 힘든 것은 대부분의 직장인의 비애일 것이다. 이런 괴로운 월요일이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 은퇴하는 그날까지?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자식들마저도 또 매주 월요일을 무거운 마음으로 출근하게 될 것이다. ‘끝없는 월요일’이라는 본 칼럼의 제목은, 자기 사업이 아닌, 자기 회사가 아닌, 남의 회사에서 월급쟁이로 일을 할 수 밖에 없는 우리의 현실을 돌아보며, 그러한 서글픈 운명으로 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물론, 필자의 아직은 미천한 인생경험에 비추어 봤을 때, 쉽게 예상할 수 있듯이 끝없는 월요일을 벗어나서 매일 금요일이나 토요일 같은 삶을 살기는 쉽지 않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루지 못해왔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포기는 이르다고 생각한다. 중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착실히 진행한다면 불가능한 것은 아닐 것이고, 혹 우리 세대에서 못 이룩한다고 하더라도 우리의 노력이, 우리의 다음 세대, 그리고 그 다음세대에서라도 남의 회사에서 월급쟁이로 일할 수 밖에 없는 운명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칼럼으로 생각을 정리하게 되었다.

이 “끝없는 월요일”이라는 칼럼은 매주 월요일, 필자가 수 개월, 아니 수 년에 걸쳐서 느낀, 왜 월급쟁이는 행복할 수가 없는 것일까? 혹은, 행복하지 못한 월급쟁이는 어떻게 해야 벗어날 수 있는 것인가? 라는 생각에 대해서 논하고, 그럴 수 밖에 없는 사회구조에 대해서 이야기 할 것이며, 필자가 명명한 노동선택권 (Labor Option) 에 대한 정의와 의의, 그리고 행복하지 못한 월급쟁이를 벗어나는 개념적 이해를 돕고자 시도할 것이다.

 


 

인플레이션 스왑 (Inflation Swap)

사실 스왑 거래는 두 거래당사자간의 계약에 의한 거래이기에, 이 세상의 어떤 자산도 그 자산에 대한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거래상대방만 있다면, 토탈 리턴 스왑을 통해 거래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도 물론 마찬가지일 것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전반적으로는 아직 인플레이션을 거래하는 기관들이 그다지 많지 않아서 시장이 제대로 형성 되어 있지 않지만, 선진금융 시장에서는 그 거래 수요가 상당하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 스왑 시장이 발달하여 활발한 거래가 진행되고 있고, 토탈 리턴 스왑 형태가 아닌, 인플레이션 시장 자체의 일반적인 거래방식 (Market Convention)이 따로 존재한다. 선진금융 시장의 일반적인 거래방식에 기준하여 인플레이션 스왑 (Inflation Swap) 에 대해서 알아보자.

인플레이션 스왑도 일반 이자율 스왑과 기본적인 개념은 비슷하다. 한 쪽의 거래상대방은 고정금리를 일정 기간 동안 지급하고, 반대편의 거래상대방은 이에 대해 그 기간 동안의 인플레이션 변동분을 지급하게 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거래되는 인플레이션 스왑은 거래시점부터 만기까지 현금흐름이 없는 제로 쿠폰 스왑 (Zero Coupon Swap) 형태를 띈다. 도식화 하면 아래와 같다.

인플레이션스왑_구조도

보다시피 일반적인 이자율 스왑의 거래와 같은 구조이며, 변동금리 대신 기간 동안의 물가지수 변동분을 주고 받는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제로 쿠폰 스왑의 형태를 띄기 때문에, 거래의 현금흐름은 아래와 같다.

  A (인플레이션 수취) B (고정금리 수취)
거래시점 현금흐름 없음 현금흐름 없음
거래기간中 현금흐름 없음 현금흐름 없음
만기시점 만기 물가지수 / 기초 물가지수 – 1 수취 (1+고정금리)^기간 수취 [복리]

 

bbgiflswap

공식이 좀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1+고정금리)^기간은 거래시점 약정한 고정금리를 기간동안의 복리로 지급하기 위한 공식이고, 만기 물가지수 / 기초 물가지수 – 1은 기간 동안의 물가지수 변동분을 계산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국에서는 CPI-U라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도시소비자 비계절조정 지수를 자주 사용하며, 유럽에서는 Eurozone HICP ex Tobacco 지수를 사용한 거래가 활발한다. 또한 주의하여야 할 점은, 인플레이션 스왑의 물가지수는 기준점을 3개월 이전의 물가지수로 삼는다는 점이다. 이는 대부분의 국가들의 물가연동채 (Inflation Linked Bond) 가 3개월 지연되는 물가지수를 반영하는 방식인 캐나다 모델 (Canadian Model) 을 채택하기 때문이다.

여느 스왑들과 마찬가지로 거래상대방 위험은 존재한다.

 


참고

베이시스 스왑 (Basis Swap)

베이시스 스왑 (Basis Swap) 은 이자율 스왑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이자율 스왑이라고 하면 고정금리 대 변동금리의 현금교환을 하지만, 베이시스 스왑은 두 거래 상대방의 필요에 따라 변동금리 대 변동금리의 현금흐름을 거래하게 된다. 이자율 스왑을 이해한다면 베이시스 스왑은 간단하게 이해될 것이다.

베이시스스왑_구조도

 

거래상대방 A는 일정 기간동안 거래상대방 B와 필요에 의해 서로 다른 Reference의 변동금리를 교환하는 거래를 체결한다. 예를 들면, 미국 3개월 LIBOR 금리와 미국 6개월 LIBOR 금리를 교환하는 거래를 일정 기간동안 하는 동종통화간의 거래도 가능하고, 이종 통화간에 유럽 6개월 EURIBOR 금리와 미국 3개월 LIBOR  금리를 교환할 수도 있다. 동종 통화간에는 원금교환이 없는 Unfunded 거래가 일반적이고, 이종 통화간에는 통화 스왑과 마찬가지로 원금교환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역시, 계약에 의한 거래이므로 여느 스왑과 마찬가지로 거래상대방 위험은 존재한다.

 


참고

 

통화 스왑 (Cross Currency Swap, CCS, CRS)

통화 스왑, 영어로는 Cross Currency Swap, CCS 혹은 CRS, 은 서로 다른 통화, 즉 이종 통화간의 스왑거래이다. 대부분의 스왑 거래는 초기 및 만기에 원금교환이 없는 (unfunded) 형태를 띄지만, 통화 스왑은 초기 및 만기에 원금교환이 있는 (funded) 형태의 거래가 일반적이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보유한 통화 (예를 들면, 원화)로, 통화 스왑으로 거래하려 하는 상대 통화 (예를 들면, 미국 달러화)를 차입하는 효과가 생긴다. 통화 스왑도 여느 스왑과 마찬가지로 거래 상대방 위험이 존재하며, 각 통화는 일반적으로 금리의 변동성 보다 훨씬 더 큰 변동성을 띄기 때문에, 거래 상대방에 대한 담보를 설정하거나 거래 한도를 세밀하게 관리하는 등 거래를 승인받거나 유지하기가 까다로운 편이다.

우선 그 거래 구조를 살펴보자.

통화스왑_구조도

위의 거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본적인 원달러 통화 스왑이다. 거래 초기 이종 통화간의 원금 교환이 있으며, 거래상대방 A는 원화 고정금리를 지급,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거래상대방 B는 달러 변동금리를 지급한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원화 고정금리는 1년에 2번, 또 달러 변동금리도 1년에 2번, 6개월 LIBOR (London Inter-Bank Offered Rate)를 지급한다는 것이다. 참고로, 일반적인 미국 이자율 스왑이나 자산 스왑에서는 분기 별 지급, 즉 3개월 LIBOR를 기준하여 거래되는 것이 보통이다.

통화스왑의 현금흐름은 아래와 같다.

A (달러 변동금리 수취)

B (원화 고정금리 수취)

거래시점 (지급) 달러 거래금액 (거래시점 환율)(수취) 원화 거래금액 (거래시점 환율) (지급) 원화 거래금액 (거래시점 환율)(수취) 달러 거래금액 (거래시점 환율)
6개월 후 (지급) 원화 고정금리 x 원화 거래금액(수취) 달러 변동금리 x 달러 거래금액 (지급) 달러 변동금리 x 달러 거래금액(수취) 원화 고정금리 x 원화 거래금액
1년 후 (지급) 원화 고정금리 x 원화 거래금액(수취) 달러 변동금리 x 달러 거래금액 (지급) 달러 변동금리 x 달러 거래금액(수취) 원화 고정금리 x 원화 거래금액

만기시점 (지급) 원화 고정금리 x 원화 거래금액(수취) 달러 변동금리 x 달러 거래금액(지급) 원화 거래금액 (거래시점 환율)(수취) 달러 거래금액 (거래시점 환율) (지급) 달러 변동금리 x 달러 거래금액(수취) 원화 고정금리 x 원화 거래금액(지급) 달러 거래금액 (거래시점 환율)(수취) 원화 거래금액 (거래시점 환율)

 


위에서 여러번 언급되었듯이, 통화 스왑은 기본적으로 초기 및 거래만기에 원금교환이 수반한다. 이와 같은 통화 스왑은 국가 간에 거래되기도 하며, 기업이 외화로 채권을 발행할 경우, 그 지불해야 하는 금액을 원화로 고정, 즉 헤지 (Hedge) 하는 경우에도, 그리고 그와 반대로 투자자가 외화로 해외자산에 투자하였을 시에 이를 자산 스왑 (Asset Swap) 과 연계하여 외화로 된 현금 흐름을 원화로 고정, 즉 헤지 (Hedge) 하는 경우에도 종종 사용된다.

 


참고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Initial Jobless Claims) 와 실업보험연속수급신청자수 (Continuing Claims)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영어로는 Initial Jobless Claims는 매주 목요일 발표된다. 본 경제지표는 직전 일주일간 미 정부 노동사무소에 신규로 실업수당을 청구한 건수를 발표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주 해고된 사람들의 숫자에 대한 추측치 작용하기에 숫자가 클 수록 고용시장이 안 좋은 것으로, 숫자가 작을 수록 고용시장이 양호한 것으로 볼 수 있어서 전반적인 고용시장의 상황을 판단하는 지표로써 사용된다.
하지만,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말 그대로 실업자가 직접 적절한 정부 노동사무소에 방문해서 신청을 해야 하므로, 계절적 요인이 많이 좌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에 이상 한파 현상이 나타난다면, 날씨가 추워서 노동사무소 방문을 자제하여 그 주에는 이례적으로 낮은 청구건수가 기록될 수 있고, 그렇다면 또 그 다음주는 또 전주에 못 신청한 청구자들이 늘어나서 이례적으로 높은 청구건수가 발표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계정적 요인이 가지는 지표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실업수당 청구건수와 같은 날 발표되는 실업보험연속수급신청자수, 영어로 Continuing Claims를 보완지표로도 많이 사용한다. 실업보험연속수급신청자수는 직전 2주전의 시점으로 실업수당을 받고 있는 총 실업자의 수를 나타낸다. 이 지표는 주로 이동평균을 많이 사용하는데 낮을 수록 고용시장이 양호하고, 높을 수록 고용시장이 악화됨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