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월요일 – 11화] 현재가치의 이해

This entry is part 11 of 15 in the series 끝없는 월요일

회계나 재무관리를 공부하다 보면 현재가치라는 개념이 나온다. 개인의 재무상태표를 통해 노동선택권 보유 여부를 좀 더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도 현재가치에 대한 이해는 필요하다. 두산백과사전의 정의에 의하면 “장래의 가치를 현재의 것으로 계산한 값”이라 요약되어 있고, 또한 그 설명으로;

현가(現價)라고도 한다. 즉, 1년 후에는 틀림없이 받게 될 1만 1000원을 현재의 가치로 산출한 가치를 말한다. 현가의 계산은, 현재 얼마를 가지고 있으면 이것이 1년 후에 1만 1000원이 될 것인가를 생각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1년 정기예금의 이자율을 10%라고 한다면, 현재 1만 원을 1년간 정기예금하면 1년 후에는 1만 1000원을 손에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이때의 확실한 1만 1000원은 현재의 가치로 계산하면 1만 원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1년 후의 확실한 1만 1000원의 현가는 11,000/(1+이자율)의 계산으로 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i기(期:i=1,2,…,n)의 기말에 확실히 얻을 수 있는 수입을 R i, i기의 이자율을 r i라 하면, Ri의 현가 V는 다음 식으로 얻어진다.

현재가치

[네이버 지식백과] 현재가치 [present value, 現在價値] (두산백과)

충분한 설명이라고 할 수도 없지만, 이 마저도 개념적으로 이해하기가 힘들다. 좀더 쉽게 예를들어 설명하자면, 1990년 대의 물가와 2015년도의 물가를 비교해 보라. 필자가 예전에 살던 압구정동에도 1980년대 말, 1990년대 초에는 한 그릇에 600원하는 짜장면이 있었고, 보통 600원에서 800원 사이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비슷한 수준의 짜장면으로 2015년 현재 압구정동 호화반점의 메뉴판을 확인하니 6천원이다. 1990년에 800원이었다고 가정하더라도 무려 5,200원의 가격 차이가 생겨 있다. 이를 매년 똑같은 비율로 상승했다고 가정한다면, 25년 동안의 물가상승율은 약 8.393%나 된다.

물론 모든 상품 혹은 서비스의 가격이 연 평균 8.393% 씩이나 오르진 않았겠지만, 짜장면만 가지고 생각해보면, 짜장면을 10,000 그릇을 살수 있는 1990년의 8백만원은 현재 기준으로 약 6천만원의 가치가 있었을 것이다.

위의 사례는 과거를 기준으로 생각하였지만, 앞으로의 미래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물가상승율을 양(陽)의 숫자로 유지하려는 중앙은행들의 노력에 의해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물가가 일정 정도 상승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성장이 빠른 개발도상국의 경우에는 그 상승율이 높은 반면, 선진국에서는 그 상승율을 일반적으로 낮은 수준에서 유지하려 하긴 하지만, 물가상승률이 0% 혹은 그 이하인 경우는 일반적인 상황은 아니다.

참고로 다음의 표는 1965년 부터 2014년 까지 국내의 연 물가상승률을 차트로 나타낸 것이다. (자료: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한국물가상승률

 

한국이 급격한 성장을 하던 60년대 70년대에는 상당히 높은 물가상승률이, 그리고 어느 정도 성장속도가 둔화된 2000년 이후는 물가상승률이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0보다는 큰 숫자를 보여주고 있다. 결국, 미래의 현금흐름을 계산하여야 하는 우리에게 오늘의 만원이 20년 후에도 똑같은 만원의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따라서 개인의 재무상태표를 계산할 시, 적절한 물가상승율 혹은 이자율을 적용하여 각 기간에 발생할 현금흐름을 할인해야할 것이며, 미래의 일은 정확하게 예상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계산은 불가능하다. (계산을 하는 방법은 위의 공식을 사용하거나, 각종 검색엔진 등에서 찾을 수 있는 여러 자료들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을 것이다. 또한 현가표를 이용하여 계산을 할 수도 있지만, 상당히 장기에 걸쳐 계산을 하여야 할 것이므로, 계산기보다는 엑셀이나 Numbers 같은 프로그램으로 계산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정확할 수 없다면, 보수적으로 보유한 자산으로 부터의 수익율은 일반적으로 좀 낮게, 부채를 계산하기 위한 현재가치 적용 비율은 좀 높은 수준으로 가정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생각한다. 착오는 어쩔 수 없이 존재하겠지만, 그 착오가 예상보다 적은 소비, 혹은 예상보다 많은 수입인 것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는 바람직하지 않겠는가?


 

Series Navigation<< [끝없는 월요일 – 10화] 노동선택권 보유 여부에 대한 개념적 이해[끝없는 월요일 – 12화] 재무상태의 계산 >>
Summary
Article Name
[끝없는 월요일 - 11화] 현재가치의 이해
Description
한국이 급격한 성장을 하던 60년대 70년대에는 상당히 높은 물가상승률이, 그리고 어느 정도 성장속도가 둔화된 2000년 이후는 물가상승률이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0보다는 큰 숫자를 보여주고 있다. 결국, 미래의 현금흐름을 계산하여야 하는 우리에게 오늘의 만원이 20년 후에도 똑같은 만원의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Author
Spread the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