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Uncertainty)에서의 마켓 대응

1. 2018년 불확실성의 시대 진입

2018년 글로벌 주식시장은 빈번한 변동성 발작(Volatility Tantrum)을 보이면서 불확실성의 시대(the Age of Uncertainty)로 진입하는 모습이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0년 가까이 지속되어온 중앙은행들의 완화적 정책(Accommodative Policies)들에서의 보다 중립적인 정책 스탠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시장의 반응이라고 보여집니다. 이는 지난 10년간 유지되어온 “Central Bank’s Put”에 대한 금융시장의 기대가 사라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결국 풋옵션(보험)이 사라지면서 보다 하방 변동성이 높은 시장으로 변신하게 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아졌다는 뜻입니다. 자금을 운용하는 입장에서 보면 변동성 상승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2. 예측성과 확률계산

위험과 불확실성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경제학과 경영학에서는 의사결정자가 가진 정보의 정확성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분류합니다.

  • 확실성:           무엇이 일어날지 확정적으로 아는 경우
  • 위험:               무엇이 일어날지 확정적으로는 알 수 없으나, 일어날 수 있는 상태를 알고 또 그 확률도 아는 경우
  • 불확실성:       일어날 수 있는 상태는 알지만, 그 확률을 알지 못하는 경우
  • 무지:               무엇이 일어날지, 어떤 상태가 될지 전혀 예견할 수 없는 경우

시장 대응과 관련해서 우리가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1)번, (2)번과 (3)번, (4번) 사이의 경계부분입니다. 사실 (1) 확실성과 같은 경우는 인간세상에서 많지 않을 겁니다. (2) 위험과 같은 경우는 시장이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고, 확률적으로 계산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 충격이 크지 않습니다. 경험상 주식시장은 3~5% 정도 조정을 보일 수 있습니다.

문제는 (3)번 불확실성부터 입니다. 어떤 이벤트가 불확실성이 높은 사안으로 받아들여질 경우 시장 전문가들 사이 의견 차이도 심하게 되고, 평균적인 확률 계산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느끼며 투매에 동참하게 되고, 시장 낙폭의 폭도 커서 10% 이상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불확실성이 계속될 경우 시장이 바닥을 찾지 못해서 바닥 확신을 못하고 두려움 속에서 결국 버티다가 바닥 부근에서 투매에 동참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3. 과거 Case 조명

위험과 불확실성 사례를 미 연준 기준금리 인상 횟수 상향(위험)과 미중 무역전쟁(불확실성)으로 구분해서 보고자 합니다.

사례1> 위험: 연준 기준금리 인상 횟수 상향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린다는 것은 주식시장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준금리 인상을 분기 1회 25bp 인상으로 천천히 지속적으로 올릴 경우(옐런의 Ultra-babystep. 과거 그린스펀은 매달 25 bp 인상하였음: Greenspan’s babystep) 시장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 해 연간금리인상 횟수를 3회에서 분기 1회 연간 4회로 시장 시그널이 변경되었다고 해서 시장에 미치는 충격은 크지 않을 수 있는 것은 전체적으로 예측된 환경 하에서 각 횟수에 반영된 확률의 변화로 시장에서 선제 조정을 받고 마무리되기 때문입니다. 위험으로 분류된 시장조정은 크지 않고 예측된 환경에서 조정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사례2> 불확실성: 미중 무역전쟁

2018년 6월 이후 코스피 하락의 원인을 미중 무역전쟁으로 보고 있는데 조정의 폭이 컸었던 이유는 사안의 파급력에 대한 시장의 예측이 불분명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기존 2018년 시장 예측에서 없었던 돌발적인 변수인데다가 전문가들 사이의 의견이 많이 엇갈렸고, positive/neutral/negative scenario별 확률계산에 대한 합의가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불확실성 환경에서는 대중 심리가 불안감에 빠져서 군집행동을 하게 되고, 두려움이 증폭되면서 뇌동매매를 하게 된다는 특징이 나타납니다.

4. 마켓 분석과 대응

마켓 대응문제는 마켓분석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주식시장이 하락할 경우 이것이 위험의 범주에 들어가는지, 불확실성의 범주에 들어가는지 판단이 필요합니다. 어느 정도 예측된 범주의 사건이고 확률적 계산이 되는 영역인 경우 조정의 깊이가 깊지 않으니 위험의 영역으로 보고 조정시 매수( Buy on dips)로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사전예측이 안되었거나, 확률적 계산이 어렵고, 시장전문가들 사이 이견이 심할 때는 조정시 매수전략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항상 마켓에 대한 겸손한 자세가 필요합니다. 매너리즘에 빠져 습관적으로 조정시 매수하는 트레이더는 오래 생존할 수 없습니다. 불확실성에 직면하게 되면 진정한 트레이더의 역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불확실성은 트레이더 능력에 대한 감별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죠.

5. 시간이 약이다.

위험과 불확실성은 사실 쉽게 구별되지 않습니다. 위험처럼 생각되었는데 불확실성의 영역으로 갈 수 있고, 불확실성 문제였던 것도 시간이 지나면서 어느 정도 확률계산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지기도 합니다. 시장에 내성이 생기면 더 이상 하락하지 않고 바닥인식이 늘면서 다시 상승하기도 합니다. 시간이 약이지요.

시장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것은 투자자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의 문제라고 봅니다. 어느 정도 예측된 사안으로 보고 있는가, 사전에 문제를 인식하지 못했던 것은 아닌가, 불확실성 문제가 지겹도록 진행되었나 등등 투자자들이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우리 자신을 돌이켜봐야 합니다.

‘신호와 소음’의 저자 네이트 실버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측의 실패’로 규정하고, 신용평가사들이 ‘불확실성’을 ‘위험’처럼 보이거나 느껴지게끔 왜곡했고 이로 인해 경제전문가와 정책결정자가 잘못된 예측을 바탕으로 잘못된 의사결정을 내림으로써 글로벌 금융위기가 초래되었다고 주장합니다. 불확실성은 시장에 큰 비용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경제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효율성입니다. 사회 구성원들 사이 자유로운 거래( Transaction)가 보장될 때 효율성이 증가합니다. 정보화 사회가 되면서 과거보다 정보의 비대칭적 문제가 많이 개선된 것처럼 보입니다. 이제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시간도 과거보다 빨라졌습니다. 이 점도 투자자들이 유의해야 될 부분입니다.

Summary
Article Name
불확실성(Uncertainty)에서의 마켓 대응
Description
2018년 글로벌 주식시장은 빈번한 변동성 발작(Volatility Tantrum)을 보이면서 불확실성의 시대(the Age of Uncertainty)로 진입하는 모습이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0년 가까이 지속되어온 중앙은행들의 완화적 정책(Accommodative Policies)들에서의 보다 중립적인 정책 스탠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시장의 반응이라고 보여집니다. 이는 지난 10년간 유지되어온 “Central Bank’s Put”에 대한 금융시장의 기대가 사라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결국 풋옵션(보험)이 사라지면서 보다 하방 변동성이 높은 시장으로 변신하게 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아졌다는 뜻입니다. 자금을 운용하는 입장에서 보면 변동성 상승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Author
Spread the love